본문 바로가기
육아, 아기 건강

영유아 아기 배변훈련시기, 배변훈련 방법, 18개월 아기 배변교육

by 또네하루 2025. 1. 10.
반응형

목차 

영유아 아기 배변훈련 

- 아기 배변훈련 시기

- 배변훈련 방법

- 배변훈련 순서 

- 배변훈련 도구 

- 배변훈련 주의 사항 

 

 

아기 배변훈련

 

영유아 아기 배변훈련 

돌이 지난 아이는 본인의 신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감각이 깨어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18개월 쯔음부터 배변훈련을 슬슬 시작할 수 있는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기 배변훈련 시기를 어떻게 하면 알 수 있는지 신호를 정리해보고 배변훈련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또 어떤 도구와 제품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주의사항이 무엇인지 알아보려 합니다. 

 

 

 

아기 배변훈련 시기 

18개월이 되면 아이는 신체적으로 발달하게 되어 아기변기등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이것도 개인차가 있으므로 부모는 서두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너무 이른 아기 배변훈련은 아기에게 압박감을 주게 되어 성격형성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신호를 아기가 보낸다면 배변훈련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걸음마가 능숙해지고, "쉬하자"라는 말을 이해할 수 있을 때

- 소변의 간격이 2시간 정도로 벌어졌을 때

- 대변을 보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 때

- 부모의 변기사용을 궁금해하고 모방하려 할 때 

- 기저귀가 젖거나 대변을 본 후 불편함을 표현할 수 있을 때 

 

 

 

아기 배변훈련 방법 

1. 친밀감 형성: 먼저 아기가 변기와 친해질 수 있도록 친밀감을 형성해야 합니다. 유아용 변기를 사용한다면 변기옆에 좋아하는 장난감을 놓아두거나 간식을 준비해 아기가 변기를 의자처럼 자주 앉아 놀 수 있도록 즐거운 배변시간이 되도록 분위기를 형성해주어야 합니다. 

2. 그림책으로 설명해 주기 

: 그림책을 통해 변기에 앉아 대소변을 보는 것임을 알려주고 배변 시 행동해야 하는 순서 등을 미리 예습시켜 줍니다. 

3. 실제 변기의 용도를 설명해 주기

: 아기가 변기와 친해졌다면 실제 변기의 용도를 설명해 줍니다. 

4. 양육자의 실제 배변모습을 보여주기 

:아기는 모방행동을 하는 시기이므로 실제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자연스러운 일임을 인지시켜줍니다. 

5.  용변을 아기와 함께 변기에 버리기 

: 용변은 변기에 하는 일임을 아이에게 인지시켜주고 변과 작별하는 인사와 함께 물을 내려줍니다. 

6.  낮 기저귀 먼저 떼기 

: 변기에 대소변을 보는 것이 익숙해지면 아기에게 먼저 낮기저귀 그만 찰 것인지 물어보고 버리기 의식 후 어린이용 팬티를 입힙니다. 

7. 밤 기저귀 떼기 

: 의사 표현이 잘 되면 밤 기저귀까지 떼 보도록 합니다. 

 

 

 

아기 배변훈련 순서 

대부분의 아기는 대변을 먼저 가리기 시작합니다. 이는 항문 괄약근 조절하는 것이 요도보다 쉽기 때문입니다. 소변 가리기는 대변보다 6개월이 더 소요됩니다.

그래서 먼저 야간 대변 가리기, 주간 대변 가리기, 주간 소변 가리기, 야간 소변 가리기의 순서대로 훈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 배변훈련 도구 

아기의 배변훈련을 도구는 다양한 것이 있습니다.

- 유아용 변기 : 변기 모형의 도구로 아기가 편하게 앉기 좋습니다. 

- 디딤대 : 변기에 올라가 앉을 수 있도록 계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유아용 변기 커버 : 어른이 사용하는 양변기에 설치하여 엉덩이가 변기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합니다. 

- 배변팬티 : 기저귀를 떼기 시작했을 때 배변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수한 소재의 팬티입니다. 

 

 

 

아기 배변훈련 주의사항 

1. 배변훈련은 동일한 사람이 일정한 시간, 장소, 용기에 배변하도록 해야 습관을 형성하기 좋습니다. 이 시기가 되면 배변의 리듬이 거의 확립되어 있으므로 시간을 계산하여 변기에 앉히면 됩니다. 

2. 아기의 변을 가리키는 용어를 제대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쉬, 응가, 똥, 오줌, 대변, 소변)

3. 강제로 시키지 않도록 합니다. 5분 안으로 변이 나오지 않으면 아기를 변기에서 내려주고 내리는 순간에도 꾸짖지 않도록 합니다. 

성공했을 때는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어야 합니다. 

4. 실수했을 때 꾸짖지 않도록 합니다. 

5. 아기가 싫증이나 거부반응을 보일 때는 기저귀를 다시 채우도록 합니다.

5. 아이마다 속도가 다르므로 조급증을 갖지 않습니다. 보통 21개월이 되면 대변의 느낌을 미리 알리고, 24개월이 되면 소변이 마려운 것까지 미리 알 릴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아기의 배변훈련 시기와 배변훈련방법, 배변훈련도구, 배변훈련 주의사항을 알아보았습니다. 언어발달이든 배변훈련이든 부모는 아이의 속도를 존중해 주고 기다려주고 신호를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적절한 시기임을 신호를 보낼 때 부모가 잘 알아차리고 그에 맞는 변화를 주어야 아이도 거부감 없이 잘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열심히 육아하는 부모님들, 파이팅 하세요. 

 

 

 

 

 

출처: 베이비빌리, 아이사랑 홈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