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1

신학기 어린이집 입소 준비물, 서류 인터넷 발급 , 낮잠 이불 구매 팁 , 몬에떼 낮잠이불 목차1. 신학기 어린이집 입소준비 - 어린이집 입소준비 서류 - 어린이집 입소 준비물 2. 어린이집 낮잠이불 - 어린이집 낮잠이불 고르는 팁 - 어린이집 낮잠이불 종류     안녕하세요. 다가오는 3월이면 신학기 어린이집 입학이 시작됩니다. 순번이 된 아이들에게는 이미 연락이 닿았을 텐데요, 오늘은 신학기 어린이집 입소 준비물, 준비 서류, 낮잠 이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학기 어린이집 입소준비 서류- 영유아 검진 결과서- 주민등록등본 - 예방접종 증명서  - 영유아검진 결과서  : 가장 먼저 아기의 입소준비 서류 중 영유아 검진 결과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문서는 아이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건강 관리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지침서입니다. 영유아 검진 결과서를 통해 아이.. 2025. 1. 28.
2025 어린이집 기본 보육료, 지원 금액, 전환 방법, 결제 방법 목차 2025 어린이집 보육료1. 어린이집 연령별 기본 보육료2. 어린이집 지원금액3. 어린이집 보육료 전환방법 4. 어린이집 보육료 결제방법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어린이집의 연령별 기본 보육료와 지원금액, 부모수당을 보육료로 전환하는 방법, 어린이집 보육료 결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5 어린이집 연령별 기본 보육료 어린이집 기본 보육료는 연령에  따라 나누어집니다. - 만 0세 (24년 출생) : 540,000원- 만1세  (23년 출생) : 475,000원- 만 2세 (22년 출생) : 394,000원- 만 3세 (21년 출생) : 280,000원- 만 4세 (20년 출생) : 280,000원- 만 5세 (19년 출생) : 280,000원      2.. 2025. 1. 27.
연휴 진료 병원 소아과, 연휴 휴일 지킴이 약국, 119 응급 의료상담 서비스 1. 연휴 진료 병원 소아과 찾기- 응급 의료 포털 E-gen- 달빛 어린이 병원 리스트2. 연휴 휴일 지킴이 약국 찾기 - 휴일지킴이 약국 3.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4. 119 응급 의료 상담 서비스       1. 연휴 진료병원 소아과 찾기 연휴(설날, 추석)에 아이들이나 가족이 아프면 당황스러운 경험이 있습니다. 응급실로 가게 되면 무한하게 긴 대기 시간 때문에 혹은 당직의사가 없을까 봐 주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연휴에 진료한느 소아과와 병원을 찾을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단을 빠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e-gen.or.kr/egen/holiday_medical.do 문여는 병의원·약국 검색-일반 | E-GEN통합홈페이지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 반드시 전.. 2025. 1. 26.
영유아 RSV바이러스 유행 안내문, 증상, 치료, 예방법 영유아 rsv바이러스 - 영유아 rsv바이러스 정의  - 영유아 rsv바이러스 증상 - 영유아 rsv바이러스 치료 - 영유아 rsv바이러스 예방법     영유아 RSV바이러스 정의 영유아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는 r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유발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을 말합니다. rsv 바이러스는 우리말로 호흡기 새포 융합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rsv바이러스는 만 2세까지 거의 무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고, 한번 rsv바이러스에 노출되면 평생 동안 rsv바이러스에 재 감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rsv바이러스는 만 5세 미만 아동이 감염될 경우 입원율이 높고, 주로 모세 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영유아 rsv 바이러스 감염자는 사망 위험률이.. 2025. 1. 25.
국공립 어린이집 vs민간 vs 가정 어린이집 장단점 비교(나이, 보육과정) 목차 1. 국공립 어린이집 장단점 2. 민간 어린이집 장단점 3. 가정 어린이집 장단점       어린이 집은 영유아 보육법에 따라 0세부터 5세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설립주체나 규모에 따라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국공립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하고 운영비를 지원하는 어린이집입니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이기 때문에 공공성과 투명성, 저렴한 보육료가 장점입니다. 시설에 따라 0세~ 7세까지 보낼 수 있습니다. 장점 - 저렴한 보육료 : 정부 지원으로 민간보다 저렴합니다. - 공신력 있는 운영 : 공공기관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투명성과 신뢰도가 높습니다. - 보육교사의 안정성 : 보육 교사 또한 공공기관에서 증명된 사람들이라 신뢰가 .. 2025. 1. 22.
어린이집 입소 대기 신청 방법, 우선 순위 및 가산점 정보, 어린이집 입소 대기 꿀팁 목차1. 어린이집 입소대기 신청 방법- 아이사랑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아이사랑 어린이집 검색 - 입소대기 신청 및 정보입력 - 우선순위 확인 및 가산점 정보- 입소대기 결과 확인 2. 어린이집 입소대기 신청 시 꿀팁        다가오는 3월은 어린이집 신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대부분 어린이집의 경우 11월부터 입소대기 확정이 이루어집니다.좀 늦은 감이 있지만 어린이집 입소대기 신청방법, 어린이집 우선순위 및 가산점 정보, 어린이집 입소 대기 신청 시 꿀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이집 입소대기 신청방법 1. 아이사랑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아래 링크를 통해 아이사랑 홈페이지에 회원가입합니다. 어린이집 준비 시, 입소대기와 어린이집 정보를 여기서 확인하기 때문에 가입 필수입니.. 2025. 1. 21.
아기 땅콩 알레르기 테스트, 땅콩 알레르기 증상, 주의 사항 아기 땅콩 알레르기- 아기 땅콩알레르기 증상 - 아기 땅콩 알레르기 대처법 - 아기 땅콩알레르기 테스트 하는 법 및 주의 사항     아기 땅콩 알레르기알레르기는 어떤 물질을 먹거나 접촉하였을때 몸의 반응이 과민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흔하게 알고 계시는 아토피 피부염, 천식, 비염, 음식 알레르기가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입니다.음식 알레르기는 5~10%정도의 아이들에게 발생하고, 0세 ~2세 사이에 많이 발생합니다. 아이의 부모님이나 형제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있으면 아이는 알레르기 질환의 고위험군입니다.과거에는 2세 이전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먹이지 않도록 했지만 지금은 특정 음식의 늦은 접근이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높은 알레르기 유발 식품은 계란, 밀가루, .. 2025. 1. 20.
돌아기 장염 원인과 증상, 치료법, 장염에 좋은 음식 돌아기 장염돌아기 장염의 정의돌아기 장염 원인과 증상돌아기 장염 치료 돌 아기 장염에 좋은 음식    돌아기 장염 정의 돌아기의 장염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생충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아기들의 면역체계는 아직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장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생후 6개월~ 24개월의 아기들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돌아기 장염의 원인과 증상 돌아기 장염의 대표적 증상은 구토, 열,  설사입니다. 돌아기 장염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1. 돌아기 장염의 원인 - 바이러스 : 가장 흔한 돌아기 장염원인입니다. 특히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대표적입니다. 로타바이러스는 유아와 소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로 바이.. 2025. 1. 19.
영유아 미디어 노출, 부작용, 영유아 미디어노출 가이드라인 영유아 미디어 노출영유아 미디어노출 부작용영유아 미디어 노출 가이드라인영유아 바람직한 태블릿, 스마트폰 활용법    영유아 미디어노출 2015년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영유아의 최초 미디어 사용시기는 만 2.3세이고, 하루평균 10~40분 사용한다고 합니다. 부모가 영유아 미디어 노출을 하는 원인은 '아이가 원해서 41%'와 '아이를 달래려고 39%', '내 일에 방해받지 않으려고 31%'로 골고루 나타났습니다. 부모가 영유아 미디어노출을 하는 원인은 주로 비교육적인 이유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스마트폰이나 태블릿등의 미디어 영상기기에 일찍 접하고 과몰입되는 영유아들은 신체적인 증상을 비롯하여 비 교육적인 콘텐츠로의 접근으로 인한 정서적 , 인성적 측면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 2025.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