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아기 건강

신생아 근성 사경 증상, 치료 방법 및 서울 아산 병원 치료 종결 후기

by 또네하루 2025. 2. 6.
반응형

목차  

신생아 사경 

1. 신생아 사경 종류 

- 근성사경 

- 후천적 사경 

2. 신생아 사경 원인 

-  근성 사경

- 후천적 사경 

3. 신생아 근성 사경 증상 

4. 신생아 근성 사경 치료 

5. 신생아 근성 사경 종결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생아 사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기쁨도 있지만 간단한 검진을 통해 아이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출산 후 조리원이나 병원을 통해 빠르게 발견되는 사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사경의 종류와 사경 종류에 따른 원인, 증상, 근성사경 치료방법을 정리하고 저희 아기의 근성사경 종결 후기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사경이란? 

사경은 비뚤어진 목을 뜻합니다. 옛 어른들 말씀에 '애는 열 시 방향이네.'라는 말이 있듯이 머리끝과 턱선이 대각선으로 비뚤어진 것을 말합니다. 주로 목의 중요한 근육인 흉쇄 유돌근이 단축되거나 뻣뻣해져서 발생합니다. 

 

 

 

1. 신생아 사경 종류 

-  근성 사경  : 출생 시 이미 흉쇄 유돌근에 손상이나 발달 이상이 있는 경우

- 후천적 사경 : 신생아기 이후 아이가 목에 힘을 주면서 한쪽으로만 힘을 주려해 기울어지는 경우 

 

 

 

 

2. 신생아 사경 원인 

- 근성사경 

     - 분만 시 흉쇄유돌근의 손상 

     - 자궁 내 위치 이상 

     - 목 근육 혈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섬유종 (근육 내 결절) 

-  후천적 사경 

     - 근골격계 문제 : 신생아를 특정 방향으로만 눕히는 습관 

     - 신경학적 문제 : 뇌나 척수의 이상 

    - 기타 질환 : 감염, 염증, 종양 등 

 

 

 

3. 신생아 근성사경 증상 

- 흉쇄유돌근 내의 몽우리 (종괴)

사경 환아는 생후 2~4주에 목에서 몽우리가 만져집니다. 비교적 단단하며 압통이 없는 강낭콩만 한 살덩어리가 있습니다.

생후 2~4주간 서서히 커지다가 생후 2~6개월 내에 사라집니다. 

- 운동제한 

출생 시 혹은 생후 2~4주 후 변형이 관찰되기 시작하고 목이 근육이 짧은 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합니다. 기울어진 쪽 목 회전 운동이 제한되고, 반대 측으로의 측방 굴곡 운동도 제한됩니다. 

- 안면 변형 

기울어진 쪽 안면이 편평화되며 대칭적 발달이 되지 못하며, 안면 비대칭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변형됩니다. 

 

 

 

 

4. 신생아 근성 사경 치료 

-진단

진단은 초음파나 엑스레이를 통해 목 근육의 섬유화 여부를 확인합니다. 1차 영유가 검진 시 촉진으로도 가능하며, 임신 중  특이사항이 있었는지 병력을 청취합니다. 

- 치료

의사의 진단에 따라 짧은 흉쇄 유돌근의 길이를 늘이는 수동적 물리치료를 할 수 있지만, 수동적 물리치료로 호전이 안되면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근성 사경의 치료는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목을 가누고 힘이 생기면 불편한 방향으로 더  돌리려는 고집이 생기기 때문에 목을 마음대로 가누기 전에 교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생후 2~3개월에 치료를 시작한다면 운동 치료만으로 대략 80% 내외의 아이들은 호전되지만 돌이 지나면 운동도 힘들고 효과도 감소합니다. 

 

 

신생아 근성사경 몽우리

 

5. 신생아 근성사경 치료 종결 후기 

이제는 저희 아기의 근성사경 치료 종결 후기를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타임라인 

37주까지 역아

37주 정상위, 40주 유도 후 자연분만 

생후 2일 차 조리원입소 및 안면 비대칭 소견 

생후 5일 차 사경 의심소견 

서울 아산병원 1차 영유아 검진 의사촉진으로 근성 사경진단 후 재활의학과로 연결 

서울아산병원 초음파 및 엑스레이로 진단 확정 및 부모재활치료 스케줄 예약 

생후 5주 차 집 인근 미사 탑 재활의학과에 영상자료 가지고 방문 후 재활도수치료 바로 시작 

생후 3개월 서울 아산 병원 재진료, 재활 치료 더 필요 진단 

생후 6개월 이후 목 기울기 완전 호전 되어 보임 , 도수 치료 안 다님 

의사파업으로 진료 못 보다가

생후 10개월 치료 종결, 몽우리는 점점 사라질 거라고 하심 

생후 18개월 몽우리 눈에 안보임 

 

목에 몽우리가 확 보이는 근성 사경 아기였는데 확실히 초기에 치료하고 집에서 매일 스트레칭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서울 아산 병원 재활의학과가 좋다고 해서 부모 재활치료를 예약했지만 예약이 너무 밀려있는 상황이라, 집 근처 재활의학과에 방문했고 스트레칭을 배웠습니다.

 덕분에 배운 스트레칭과 영상자료를 보며 매일 스트레칭을 해주고 평소 아기랑 눈 맞추고 놀 때에도, 방향을 신경 써가며 육아했습니다.

아기 신생아 시절에는 뭔지도 모르고 스트레칭을 당했는데 3개월이 넘어가니 불편해서 짜증이 심해졌지만 기분 좋을 때 재롱떨면서 장난치는 듯 스트레칭해주기도 하고 제 손목이 많이 고생했지만 조기 치료가 중요한 만큼 매일 스트레칭해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의사 파업 탓에 병원 진료가 계속 미뤄졌지만 엄마 눈으로 보기엔

 6개월 이후에는 기울기가 거의 돌아왔고 8개월엔 신경이 쓰이지 않을 정도가 되고 10개월에 치료 종결 진단을 받았습니다. 

막 태어난 아이에게 이런 문제가 보여 많이 속상하겠지만 대부분 좋아지니 걱정 마시고 조기 치료에 꼭 힘쓰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제 네이버 블로그 후기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https://m.blog.naver.com/hyeunseo_33/223253928746

 

신생아 아기 사경치료👶🏻서울아산병원, 미사탑재활의학과 재활치료, 신생아 사경증상

신생아 아기 사경치료 진단&재활치료 다올이가 조리원에 온날 조리원 원장님들이 아기에 이상이 있는지...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