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과 환율 변동의 효과
환율이란, 외국 돈을 살 때 지불하는 외국 돈의 가격을 말하며, 한 나라의 화폐와 외국 화폐와의 교환 비율을 일컫습니다. 환율은 각 나라의 경제 사정에 따라, 국제 경제의 흐름에 따라 매일 바뀌게 됩니다. 특히 수출입이 활발한 무역 및 항공 여행업에는 환율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물론 외국과 관계를 맺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요즘 시대에는 환율이 국민 경제와 개인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환율에 따라 돈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1000원에 1달러이던 환율이 2000원에 1달러가 되었을 때, 수출하는 기업은 이익이 많아지게 됩니다. 또 1달러로 1000원어치를, 살 수 있었던 때와, 1달러로 2000원어치 물건을 살 수 있다면 외국인이 우리나라의 물건을 사기 위해 찾아오게 됩니다. 반면 환율이 떨어진다면 수입하는 기업이 이익을 얻게 됩니다.
*원화 강세 : 달러당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원화와 달러의 교환 비율이 1달러당, 1000원이었다가, 900원이 될 때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원화의 힘이 강해졌다는 뜻입니다.
*원화 약세 : 달러당 원화의 가치가 내려가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원화와 달러의 교환 비율이 1달러당, 1000원이었다가, 1100원이 될 때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원화의 힘이 약해졌다는 것입니다.
환율이 오르게 되면, 즉 원화의 가치가 약해지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수출하는 기업은 유리해지지만, 수입하는 기업은 불리해지게 됩니다. 만약 미국에 우리나라의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이 있다면, 평소에 미국은 우리 물건을 100만 원에 들여왔다면 이제는 같은 돈으로 150만 원어치의 물건을 들여오게 됩니다. 미국의 입장, 즉 수출하는 기업의 고객은 물건을 싸게 가져오는 효과를 지니게 됩니다. 반대로 수입을 해오는 기업은 더 많은 가격을 들여서 물건을 들여와야 합니다. 환율의 상승으로 인해 해외에서 수입해 오는 명품 가방, 원자재, 원유 등의 값이 오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환율이 오를 때, 자본의 유출 가능성도 늘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달러가 1000원이었다가 2000원이 되었을 때, 100만 원을 출금한다면 처음엔 1000달러였다가 500달러가 되게 됩니다. 그래서 해외 자본과 투자자들이 국내 자본 시장에서 빠지게 됩니다. 경쟁력이 없기 때문이죠.
환율이 떨어지게 되면, 즉 원화의 가치가 강해지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앞서 말한 바와 모든 상황이 반대로 일어나게 됩니다. 수출 기업의 고객인 미국은 우리 물건을 100만 원에 들여오던 것을 50만 원어치의 물건만 들여오게 되고, 물건을 더 비싸게 주고 들여오게 됩니다. 반대로 수입을 해오는 기업은 외국의 물건을 값싸게 들여올 수 있습니다. 유가, 식료품, 생필품에도 영향을 미치며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또 해외여행을 갈 때, 적은 돈으로 더 많은 외화를 보유할 수 있게 되니 해외여행이 활성화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환율의 변동은 개인과 기업 나라의 경제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환율은 급격한 변화 없이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하는 게 최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