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과 시가총액, 종합 주가지수

by 또네하루 2023. 6. 2.
반응형

주식과 시가총액, 종합 주가지수

주식(Stock)이란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이며, 지분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는 자본 단체이므로 자본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자본은 사원인 주주의 출자이며, 권리와 의무의 단위로서 주식으로 나누어집니다. 고로 주식은 자본을 구성하는 금액의 뜻과,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및 의무의 단위인 주주권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먼저, 금액으로서 주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회사의 자본은 주식으로 분할해야 하며 주식의 금액은 균일해야 합니다. 주식의 금액은 자본을 균일하게 나눈 단위로서의 금액을 표시합니다. 자본과 주식의 관련이 밀접하여 자본의 구성 분자로서의 금액을 뜻합니다. 다음으로 주주의 권리 및 의무 단위로 주식을 살펴보겠습니다. 회사에 대한 사원의 지위를 지분이라고 하는데요, 자본 단체로서의 주식회사에 있어서의 지분, 즉 주주의 지위를 주식이라고 합니다. 주주는 주주라는 자격으로 회사에 대해 여러 권리를 갖게 되며, 출자 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이런 여러 권리 및 의무를 발생시키는 기초가 되는 회사와 주주 간의 법률관계, 주관적으로 말하면 사원의 회사에 대한 법률상의 지위를 주주권이라고 합니다. 주주권은 금액으로서의 주식을 단위로 하여 인정되는 것이므로,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및 의무는 주주권이라는 뜻을 지니는 주식을 단위로 하여 결정됩니다. 

 

시가총액은 모든 상장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입니다. 상장종목 별로 당일 종가에 상장 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주식시장 용어이지만, 파생 상품 시장과 부동산 시장에서도 쓰입니다. 시가 총액이라는 것은 회사의 미래에 창출 가능한 가치를 반영하긴 하지만 그게 바로 회사의 가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의 가격이라는 것은 시장에서 매 순간 변화하는 값으로, 회사의 잠정적 가치 이외에도 시장에 얼마나 물량이 풀려있는지나 통화량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시가 총액은 어떤 의미로 쓰일까요? 우리나라 증권 거래 규모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또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그 주식시장의 규모를 나타내며, 한 나라 경제 크기의 측정치로서 경제지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국민 총생산과 비교할 때 국민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주식시장의 비중을 알 수 있고, 경제성장률과 시가총액 증감률 비교를 통해서는 주식시장 성장이 경제성장에 얼마나 선행하는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가 지수는 증권시장에서 형성되는 주가 변동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많은 기업의 주식이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모든 변동 사항을 투자자들이 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현할 필요성이 생겨 만들어진 것이 주가지수입니다. 주가지수만으로 투자 상품이 되기도 하며 대표적으로 코스피, 코스닥, S&P 500, 나스닥, 다우지수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