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의 5가지 종류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경제지표입니다. 기준 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하여 비교 시점에 변동한 정도를 표시한 것으로 5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1. 소비자 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 소비자 물가지수의 영어 약자입니다.
소비자가 자주 구입하는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물가지수입니다. 미국의 CPI는 노동부 예하의 고용 통계국에서 발표하고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발표합니다.
2.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Core CPI
기존 CPI에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재화와 서비스의 측정 지수입니다. 농산물 등의 식품은 계절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정책을 편성하는데 근원 CPI 지수가 참고하기 좋습니다.
3. 생산자 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로 생산자 물가지수를 일컫는 말입니다. 생산 원가와 관련이 있으며, 기업의 비용 증가를 측정할 수 있는 경제 지표로 CPI에 포함되지 않는 원재료와 중간재, 최종 자본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로 소비자 물가지수보다 더 포괄적인 물가지수로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발표합니다.
4. 디플레이터 GDP
국민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제활동을 반영하여 물가지수입니다. 한마디로 '종합 물가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수출 투자 등 국내에서 일어난 모든 경제활동을 포괄해 산출한 경제지표입니다.
5. 개인소비지출 PC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의 약자로 개인소비지출을 일컫는 지표입니다. 특정 기간에 개인들이 지출을 늘렸는지 줄였는지 파악하여 수치화한 것으로 미국에서 연준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물가지수입니다. 토지 건물 구입비 등은 제외된 지표이므로, 실물경제가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지 침체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지표로서 확인하기 좋습니다.
물가지수의 용도는 화폐의 구매력을 측정하는 수단, 경기 동향의 판단 지표, 전반적인 상품의 수급 동향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 명목, 국내 총생산을 실질 국내 총생산으로 환산하는데 쓰이는 지수로 이용됩니다. 지수 물가와 체감 물가가 다른 이유는 첫째로 대체로 가격이 오른 상품만을 가지고 단순평균식으로 물가를 느끼기 쉽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지출이 늘어난 것을 물가 상승과 혼돈하기 쉽습니다. 세 번째로, 자신이 사는 상품을 중심으로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쉽기 때문이고 네 번째로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확대되어 소비자의 물가 감각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기타 흥미로운 물가지수로는 빅맥지수, 아이폰 지수, 김치 지수, 초코파이 지수, 라테 지수 등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