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플레이션의 영향과 정책, 스테크플레이션

by 또네하루 2023. 6. 1.
반응형

인플레이션의 영향과 정책, 스테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의 꾸준한 상승, 통화량의 확대, 화폐가치의 하락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악성 암으로 취급당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크게 4가지입니다. 첫 번째로, 월급을 받는 직장인(근로소득자)들은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른 만큼 월급을 올려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습니다. 그럴 경우 소득의 격차가 심해지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일어나 사회가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두 번째로, 채무자는 유리해지고 채권자는 불리해지게 됩니다.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빚을 갚기 쉬워졌기 때문입니다. 빚을 진 사람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므로 부의 재분배가 이뤄지게 됩니다. 세 번째로 상품 값이 비싸지면 더 비싼 값으로 수출해야 하므로, 수출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또 국내 물건값이 비싸지면 수입물품을 쓰게 되므로 무역수지의 적자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네 번째로, 화폐가치가 갈수록 떨어지게 되면 저축할 때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축하는 일이 줄게 되어 은행의 자금이 들어오지 않게 되어 자본 부족으로 경제성장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을 막으려면, 물가를 내리기 위해 돈을 줄이거나 상품의 공급량을 늘려야 합니다. 사회에 돈이 많아지면 저축을 장려하고,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도 부족하지 않게 공급량을 늘리는 것입니다. 만약 물가 상승의 원인이 특정 산업의 생산이 적기 때문이라면 그 분야의 생산성을 높여 주고, 유통 구조의 개선으로 공급량을 늘려야 합니다. 인플레이션 방지 정책을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따라 정해야 하며, 예를 들면 물가 정책 수단으로 총 수요와 총공급을 알맞게 조정하는 총 수요 억제 정책이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를 뜻하는 스테그네이션과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 현상으로 인플레이션보다 더 안 좋은 상황을 뜻합니다. 원유나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생산 비용이 늘어나 제품 가격이 자동적으로 오르지만 기업의 이익은 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직원의 월급을 올려줄 수 없고, 그렇게 되면 가계 소득이 늘지 않으니 소비를 줄이게 되고, 기업은 제품이 팔리지 않아 도산하거나 경영을 축소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일자리가 줄게 되고 실업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경기가 좋아 물가가 오를 때는 금리를 올리거나 정부의 재정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반대로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금리를 내리거나 정부의 재정 지출을 늘리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테그플레이션, 경기 침체 상황에서는 이를 해결할 좋은 수단이 없어 상황의 해결이 더디게 됩니다. 

반응형